728x90
반응형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353/view.do?nttId=10068556&menuNo=200433

[제2022-2호]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 BOK 이슈노트(상세) | 수시 | 발간주기별 검색 | 간행물 | 조

한국은행 조사국의 BOK 이슈노트를 제공하는 게시판

www.bok.or.kr


저자: 김경근, 손미규, 조유정, 채동우, 김재휘

2022년 1월 18일 한국은행 홈페이지에 올라온 자료를 정리했다.



1. 2020년 하반기부터 두드러진 국제 원자재 가격의 급등
- 통상적으로 국제원자재가격 상승 시기에는 미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는 경향이 강함. 하지만 최근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이 경제주체의 인플레이션 기대를 상승시켰음. 게대가 연준의 정책 기조 전환 가능성이 고조되어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임.
- 특히 다른 통화에 비해서도 절하되는 양상을 보임. 우리나라는 해외 원자재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더 영향을 많이 받을 거라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임.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에서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81%에 달함.

2. 중국경제 의존도 경로
- 대중 의존도가 높아 통화 절하율이 심하게 나타남. 2021년 중국 부동산개발 기업인 헝다그룹 관련 불확실성이 확대되어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심화됨. 그래서 교역이 많은 국가들에 영향을 줌.
- 우리나라의 대중 교역 의존도는 2020년 기준 24.6%
- 동남아 5개국 신흥국들의 통화보다도 영향을 많이 받았음.

3. 포트폴리오 투자 경로
-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에 의해 투자 수익률이 높아진 국가에 대한 매도 전략이 작용. 2020년에 주가가 많이 상승했으므로 (54.2%)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가 증가했음. 이러한 경향은 다른 나라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데, 2020년 주가지수 상승률이 컸던 국가일수록 2021년중 통화 절하율이 높게 나타남.
- 글로벌 반도체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작용. 우리나라는 반도체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음. 메모리 반도체의 전방산업인 비메모리 반도체의 공급차질과 PC, 서버 등의 완성품 수요 둔화로 작년 하반기부터 메모리 반도체 공급과잉 및 D램 가격 하락을 예상. 그래서 반도체 주식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도 증가. 하지만 2021년 11월 외국인이 순매수로 돌아서는 등 우려가 다소 해소되는 모습.
-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 및 포트폴리오 투자자금 유출.

4. 현/선물환 연계를 통한 환율기대 강화 경로
- 환율 상승 기대에 따른 선물환 헤지 및 투기 수요 증가. 자기실현적 환율상승 메커니즘 작용.

자기실현적 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 https://thepowerofdirection.tistory.com/m/40

자기실현적 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806 고통의 자기실현적 예언 - 정신의학신문 심리학이나 사회학에서 자기실현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라는 용어가 있다. 이는 어떠한..

thepowerofdirection.tistory.com




이 정리가 맞다면 앞으로 환율이 내려가려면 다음의 조건들이 충족 되는지 앞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1. 글로벌 공급망이 정상화 된다.
2. 중국의 경제가 살아날 조짐이 보인다.
3. 반도체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해소된다.
4. 환율의 하락세가 나타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시작된 국제정세의 불안정 또한 문제인듯 하다. 최근 핀란드가 나토가입을 공식화해서 국제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꽤나 장기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 Recent posts